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프냐, 나도 아프다"…'아픈 얼굴' 보기만 해도 면역세포 반응, 그 비밀은?

by 버킷리스트 삶 2025. 8. 3.
반응형

 

타인의 고통을 목격하는 것만으로도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활성화된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스위스 제네바대 연구진이 진행한 가상현실(VR) 실험을 통해 시각적 자극만으로도 면역 반응이 유도될 수 있음이 밝혀져 학계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아픈 사람을 보는 것만으로 면역 시스템이 '경고'

 

 

우리는 기침하는 사람을 보거나 아파 보이는 사람을 마주할 때 무의식적으로 거리를 두거나 조심하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심리적인 반응을 넘어,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잠재적인 감염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미리 움직이는 현상임이 이번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연구진은 248명의 건강한 참가자들에게 VR 헤드셋을 착용시키고, 중립적인 표정의 아바타부터 피부 발진이나 공포에 질린 듯한 감염 증상을 보이는 아바타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실험 결과, 아픈 아바타를 본 참가자들은 무의식적으로 몸을 멀리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더 놀라운 점은 참가자들의 뇌파와 기능 자기 공명영상(fMRI), 혈액 분석을 통해 감염된 듯한 아바타를 본 사람들의 면역세포가 실제로 활성화되었다는 사실입니다. 특히 외부 위협에 가장 먼저 반응하여 다른 면역세포에 경고를 보내는 '선천성 림프구'가 활성화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실제 병원균에 노출되지 않고 단지 감염자처럼 보이는 이미지를 보는 것만으로도 우리 몸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 몸의 놀라운 자기 방어 메커니즘

 

연구를 이끈 카밀라 얀두스 제네바대 교수는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보는 것만으로도 우리 몸이 대비 태세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독일 함부르크대 에스더 디코프 연구원 또한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오기 전부터 면역 시스템이 준비 상태로 전환되는 메커니즘이 또 한 번 확인된 셈"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이러한 시각적 면역 반응이 실제 감염을 막거나 이겨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베네딕트 세든 교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시 면역 체계가 인식하고 반응하는 데 1~2일이 걸릴 수 있음을 언급하며, 시각 정보에 대한 반응이 감염 예방으로 이어지는지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연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시각 정보가 우리 몸의 생리적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타인의 아픔을 인지하는 순간, 우리 몸은 이미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질의응답

Q1: 이번 연구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나요?

 

A1: 스위스 제네바대 연구진은 248명의 건강한 참가자들에게 VR 헤드셋을 착용시키고, 중립적인 표정부터 감염 증상을 보이는 아바타까지 다양한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여 참가자들의 면역 반응을 분석했습니다.

 

Q2: 연구 결과, 어떤 면역세포가 활성화되었나요?

 

A2: 특히 외부 위협에 가장 먼저 반응하는 '선천성 림프구'라는 면역세포가 활성화되었습니다.

 

Q3: 아픈 사람을 보는 것이 실제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되나요?

 

A3: 이번 연구에서는 시각적 자극만으로 면역세포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밝혔지만, 이것이 실제 감염을 막거나 이겨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결론

이번 스위스 제네바대 연구는 타인의 '아픈 얼굴'을 보는 것만으로도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잠재적인 위협에 대비해 활성화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정보 처리 능력과 면역 체계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입니다.

 

비록 이 반응이 실제 감염 예방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우리 몸이 외부 자극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며 스스로를 보호하려는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연구라 할 수 있습니다.

태그

#면역체계 #가상현실 #네이처신경과학 #5HT1A수용체 #뇌신호스위치 #건강연구

참고 자료

반응형